파이썬 - 넘파이 브로드캐스팅
import numpy as np A = np.arange(3).reshape(3,1) B = np.arange(3).reshape(1,3) print('A :\n',A) print('B :\n',B) print(A+B) A : [[0] [1] [2]] B : [[0 1 2]] [[0 1 2] [1 2 3] [2 3 4]] 넘파이의 브로드캐스팅 기능이 덧셈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행렬간의 덧셈을 해주었다. a = np.array([1,2,3,4,5]) b = np.array([1,2]) print('a :\n',a) print('b :\n',b) print(a+b) a : [1 2 3 4 5] b : [1 2] 반면에 위 코드처럼 넘파이의 브로드캐스팅 기능이 덧셈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오류가 발생한다..
2022. 5. 11.
Python 파이썬 map()함수, filter()함수 비교
주어진 배열에 있는 정수들 중에서 양수만 뽑아서 출력하는 함수 만들기 map함수 def positive_list(a): def positive(n): return n>0 ans = list(map(positive, a)) return ans positive_list([-1, 1, 2, -2, 3, -3]) [False, True, True, False, True, False] filter함수 def positive_list(a): def positive(n): return n>0 ans = list(filter(positive, a)) return ans positive_list([-1, 1, 2, -2, 3, -3]) [1, 2, 3] 같은 구조로 map과 filter만 다르게 써봤다. map 사용하니..
2022. 4. 2.
파이썬 기초 - 배열과 문자열
배열과 문자열 배열 여러개의 값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을 배열이라 한다. 배열 내에는 여러개의 자료형이 들어갈 수 있다. 배열은 순서(인덱스)를 갖고 있다. 왼쪽부터 0, 1, 2 ... 으로 늘어난다. arr = ('apple', 2, 3, 1, '22', 'array') print(arr) print(arr[0]) print(arr[2]) ('apple', 2, 3, 1, '22', 'array') apple 3 print(arr[0:3]) print(arr[:]) print(arr[-1]) print(arr[::2]) print(arr[4::-1]) ('apple', 2, 3) ('apple', 2, 3, 1, '22', 'array') array ('apple', 3, '22') ('22', 1,..
2022. 3. 6.
파이썬 기초 - 변수, 자료형, 사칙연산
변수 선언과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변수에 들어갈 값의 자료형을 파이썬이 자동으로 설정해준다. 변수 선언은 선언할 변수이름과 변수에 넣을 값을 등호 1개로 연결시켜준다. 변수에 값을 넣을 때에는 자료형 선언을 해줄 필요가 없다. 변수에 들어가있는 값의 자료형을 출력하기위해 print()함수를 사용해준다. print(22) a = 4 print(a) print('a :', a, type(a)) b = 'python' print('b :', b, type(b)) c = 2.2 print('c :', c, type(c)) d = True print('d :', d, type(d)) e = (1.0 == 1) d = True print('e :', e, type(e)) print(a,b,c,d,e..
2022. 3. 4.